본문 바로가기

유물 복제, 유물 복원, 유물 재현품 갤러리150

#89 볍씨붙은 토기고배의 복원(성주 성산동고분) 가야시대 성주 성산동고분에 출토된 고배의 복원 이 시대의 벼농사와 관련된 중요한 자료로 복원전시 2014. 1. 29.
#88 청동기시대 석기에서 초기철기시대 철기로의 변화과정 복원 전시 2014. 1. 29.
#87 청동기시대 돌낫과 돌칼의 복원(부여 송국리유적) 2014. 1. 29.
#86 반월형돌칼과 쇠칼의 변천과정(남한 송국리유적과 북한 용연동유적) 반월형돌칼의 변천과정을 알 수 있는 복원전시물 2014. 1. 29.
#85 초기철기시대 철제 낫복원(용연동유적) 북한지역의 초기철기시대자료의 복원-용연동유적 2014. 1. 29.
#84 초기철기시대 반달형 쇠칼복원(평안북도 위연 용연동유적) 북한지역의 초기철기시대자료의 복원-용연동유적 2014. 1. 29.
#83 청동기시대 반달형돌칼 제작 가로 길이 약 12cm 가량의 체험용도의 가장 작은 반달돌칼입니다. 국내산 석재(점판암 및 흑색사암)를 가공하였습니다. 중국에서 수입되는 점판암은 대게 무르고 손에 가루가 묻어나오지만 국내산의 경우 강도가 매우 높아 오랜기간 체험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2013. 5. 17.
#82 삼국시대 창원 다호리유적 출토 고상가옥형토기 복원 다호리유적에서 출토된 가야시대 고상가옥형토기의 복원 가야시대 당시의 곡식의 보관이나 창고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는 유물이다. 높이 : 30cm 2013. 4. 16.
#81 삼국시대 무안 양장리 저습지유적 출토 절굿공이 삼국시대 저습지유적에서 출토된 절굿공이 길이 : 134cm 2013. 4. 16.
#80 삼국시대 무안 양장리유적 출토 낫자루 삼국시대 저습지유적에서 출토된 낫자루 낫날은 소실되어 정확한 형태를 알수 없으나 낫자루에 곡선리를 살려 기능성이 보이는 낫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자루 길이 : 37cm 2013. 4. 16.
#79 초기철기시대 광주 신창동유적 절굿공이 복원 초기철기시대 광주 신창동 저습지유적에서 출토된 절굿공이 편 복원 절굿공이 편(52.7cm)이 확인되었으나 전체길이를 추정하여 완형으로 복원(120cm) 2013. 4. 16.
#78 초기철기시대 신창동유적 출토 옹형토기 및 토기뚜껑의 복원 초기철기시대 시루와 세트를 이루는 옹형토기의 복원 높이 : 25cm 2013. 4. 16.
#77 초기철기시대 광주 신창동유적 출토 시루의 복원 신창동유적에서 출토된 시루의 복원 높이 : 20cm 2013. 4. 16.
#76 초기철기시대 신창동유적 출토 시루 복원 초기철기시대 시루의 복원 시루의 제작은 신석기시대부터 시루의 기능과 유사한 형태의 토기가 사용되었지만 본격적인 형태의 완성은 청동기시대를 거쳐 초기철기시대에 왕성해진다. 높이 : 21.7cm 2013. 4. 15.
#75 초기철기시대 광주 신창동유적 출토 낫자루의 복원 초기철기시대 낫의 형태를 알 수 있는 나무손잡이의 복원. 신창동유적에서는 낫날은 확인되지 않아 정확한 날의 형태는 파악하기 어렵지만 그와 유사한 시기인 완주 갈동유적의 낫의 형태와 비교해 볼 수 있다. 신창동유적의 대부분의 목제 자루의 제작은 쐐기를 활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자루길이 : 30cm 낫날 : 추정복원 : 22cm 2013. 4. 15.
#74 초기철기시대 신창동유적 국자 복원 초기철기시대 대표적인 식기용품인 토제국자의 복원 길이 : 17cm 2013. 4. 15.
#73 신석기시대 김천 송죽리유적 출토 빗살무늬토기 복원 송죽리유적 특징인 빗살무늬토기의 복원 복원된 토기의 소성과정 중의 특성상 잔금이나 균열이 있을 수 있습니다. 토기높이 : 12.6cm 2013. 4. 15.
#72 초기철기시대 사천 늑도유적 출토 사슴뿔 낫 복원 사천 늑도유적에서 출토된 사슴뿔 낫의 복원. 초기철기시대에는 동물자원을 활용한 도구제작의 예가 가장 빈번한 시기이다. 길이 : 31cm 2013. 4. 15.
#71 삼국시대 부여 사비도성 출토 가래 복원 부여 사비도성에서 출토된 목제가래의 복원 길이 : 137.6cm 판매완료 2013. 4. 15.
#70 삼국시대 부여 사비도성 출토 나무삽 삼국시대 나무삽의 복원. 삼국시대 농경과 관련된 나무삽의 형태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길이 : 105cm 2013. 4. 15.
#69 초기철기시대 복골의 제작 광주 신창동유적과 군곡리패총에서 출토된 복골의 복원 복골은 주술적인 점치는 도구로 확인되고 있으며 달군 쇠를 뼈에 지졌을 때 갈라지는 형태를 보고 점궤를 보았던 도구로 보고 있다. 복골은 주로 사슴 견갑골, 말 견갑골, 소 견갑골, 멧돼지 견갑골 등을 사용하고 있다. 복골 세로.. 2013. 4. 15.
#68 초기철기시대(탐라) 제주지역 곽지패총 출토 패칼 복원 제주지역의 주변자원을 활용한 패칼의 복원 조개껍질로 제작된 김녕리유적의 패촉(조개껍질 화살촉)과 함께 반월형돌칼을 조개껍질로 제작한 형태 석기제작에 적합한 석재의 공급이 부족한 제주지역만의 특색을 살펴볼 수 있는 유물이다. 패칼에 사용된 전복껍질 역시 말전복껍질을 활용한 것으로 대략적인 크기를 추정하면 약 15~18cm 가량의 손바닥크기의 껍질을 가공하여 제작하였다. 가로길이 : 12cm, 13cm 2013. 4. 15.
#67 청동기시대 논산 마전리유적 출토 새모양 목제품 복원 청동기시대 유일한 목제 조형품으로 논산 마전리유적에서 출토되었다. 청동기시대에 새에 대한 상징성을 엿볼 수 있는 귀한 유물이다. 길이 : 21.4cm 2013. 4. 9.
#66 삼국시대 광주 동림동유적 출토 고무래 복원 광주 동림동 저습지유적에서 출토된 고무래복원 고무래는 제작과정 또는 다른 이유로 해서 자루가 없는체로 저습지 내에서 출토되었다. 비교되는 자료로는 보다 이른시기인 청동기시대에 논산 마전리유적에서 출토된 고무래가 있는데 이것은 자루가 삽입되는 돌출부위에 천공작업이 되어 있지 않다. 가로길이 : 27.9cm 2013. 4. 9.
#65 청동기시대 진주 대평리유적 출토 지진구 일괄 복원 청동기시대 진주 대평리유적에서 출토된 지진구 일괄 복원(1습 5점) 2013. 4. 9.
#64 청동기시대 진주 대평리유적 볍씨자국 토기 복원 대평리유적에서 출토된 볍씨자국 토기 토기제작 때 토기저부에 볍씨 낱알이 박힌체로 구워져 농경과 토기의 저장단지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 높이 15cm 2013. 4. 9.
#63 초기철기시대 광주 신창동유적 출토 나무망치 광주 신창동 저습지유적에서 출토된 끌망치 목공용으로 끌을 이용하여 조각할때 때리는 망치이다. 길이 : 25cm 판매완료 2013. 4. 9.
#62 삼국시대 부여 궁남지 출토 나무방망이 삼국시대 나무방망이 복원 주로 목공용으로 끌망치로 쓰는 용도로 사용된다. 길이 : 30cm 2013. 4. 9.
#61 삼국시대 부산 고천리유적 출토 절구통 복원 삼국시대 절구통의 복원 통원목을 다듬어 절구통을 제작하였다. 절구통 높이 : 34cm 지름 : 35cm 2013. 4. 9.
#60 삼국시대 부산 고천리유적 출토 절굿공이 복원 삼국시대 절굿공이의 복원 길이 : 105cm 2013.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