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물 복제, 유물 복원, 유물 재현품 갤러리150

#119 청동기시대 가락바퀴(방추차) 전시연출 -박물관 전시에 활용될 전시 예- 2016. 12. 15.
#118 신석기시대 마제석부 제작 # 118 신석기시대 마제석부의 제작 -천매암 가공- 2016. 11. 27.
#117 울산 호계동 출토 청동기시대 마제석검제작 2016. 11. 24.
#116 청동기시대 체험교구용 석착 및 갈판세트 제작 2016. 11. 23.
#115 해남 군곡리유적 출토 새모양토기 제작 2016. 10. 19.
#114 청동기시대 반달형 돌칼 제작 국내산 점판암 석재를 수작업으로 가공한 반달형 돌칼(완성품)입니다. 유물에서 보이는 반달형 돌칼의 특징(마연방향 및 마연형태, 마연각도 및 천공형태)등을 고려하여 제작된 전문교육용(고고학 전공자) 교보재입니다. 체험용과 교육용은 모두 동일한 재질과 사양으로 제작됩니다. 모두 완성품입니다. 주로 15cm 크기의 반달형 돌칼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사용 용도에 맞게 돌칼 크기를 반드시 확인하신 후 구입하시길 바랍니다. 특히 12cm의 경우 굉장히 작은 사이즈이며 이로 인한 반품은 안됩니다. 제작체험용 반달형돌칼은 별도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 C-1 반달형 돌칼, # C-5 삼각형 돌칼 만들기 체험 세트(반달돌칼 만들기 체험교구) # C-1 반달형 돌칼, # C-5 삼각형 돌칼 만들기 체험 세트 (반달돌칼 만.. 2016. 10. 5.
#113 구석기시대 주먹도끼 제작 및 찍개,긁개 복원 2016. 8. 4.
#112 선사시대 갈판제작 <사암(퇴적암)으로 제작된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시대 갈판세트 제작> 제주 고산리유적 재현품 청동기시대 갈판세트 제작 2015. 7. 14.
#111 구석기시대 여러면석기 연출복원 구석기시대 여러면석기의 연출복원 흔히 여러면석기는 팔매돌의 기능을 가진 석기로 이해되고 있으며 연구자들마다 망치돌의 기능이 동반된 복합적인 석기로 연구되고 있음. 다만 여러면석기의 무게는 크게 대형의 경우 800g ~1kg 에 육박하여 줄을 매달아 던져서 사냥감을 생포하는 용도.. 2015. 6. 23.
#110 신석기시대 소형 마제석착 복원 2015. 6. 23.
#109 신석기시대 마제석부 복원 2015. 6. 23.
#108 신석기시대 마제석부 복원 2015. 6. 23.
#107 신석기시대 마제석착 복원 2015. 6. 23.
#106 신석기시대 소형마제석부복원 2015. 6. 23.
#105 신석기시대 마제석부복원 2015. 6. 23.
#104 신석기시대(함평 장년리유적) 굴지구 복원 함평 장년리유적 굴지구의 복원 2015. 6. 23.
#103 신석기시대 결합식 낚시바늘 전시예 사슴뿔과 밀납. 송진을 이용한 접착제, 힘줄의 결합으로 제작되어진 결합식낚시바늘 2015. 4. 15.
#102 초기철기시대(탐라) 패촉복원(제주 궤네기동굴유적) 2014. 11. 14.
#101 신석기시대 석재작살복원(여수안도패총) 석기길이 : 11.3cm 자루길이 : 160cm 2014. 11. 14.
#100 구석기시대 흑요석 화살촉 연출 재현 2014. 11. 14.
#99 초기철기시대 실감개(광주 신창동유적) 2014. 10. 29.
#98 초기철기시대 베틀용 바디 복원(광주 신창동유적) 2014. 10. 29.
#97 고려시대 출토 죽간(태안 마도1호선) 길이 35.6cm, 너비 2.1cm 회진현에서 서울에 있는 □(광)□댁에(올림). 전출의콩(네)섬.이십말을넣음. 會津縣在景□(光)□宅田出 太(肆)石入卄斗 2014. 10. 29.
#96 고려시대 출토 목간 복원(태안 마도 1호선) 길이 25.0cm, 너비 1.0cm 회진현 새밭의 백미 스물네섬을 납부함. 會津縣畬白米入貳拾肆石 2014. 10. 29.
#95 고려시대 출토 죽간 복원(태안 마도1호선) 길이 25.0cm, 너비 1.0cm 회진현 새밭의 백미 스물네섬을 납부함. 會津縣畬白米入貳拾肆石 2014. 10. 29.
#94 초기철기시대 파수부형토기 복원(광주 신창동유적) 2014. 10. 29.
#93 삼국시대 소발자국 복원(진주 평거동유적) 2014. 10. 29.
#92 초기철기시대 저습지유적 출토 낫복원(무안 양장리유적) 2014. 10. 20.
#91 짚신형토기의 복원(부산 복천동 53호무덤 출토) 부산 복천동 53호무덤에서 출토된 짚신형토기의 복원 이 시대의 짚(또는 부들)을 이용한 생활용구의 활용사레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2014. 1. 29.
#90 볍씨붙은 토기뚜껑의 복원(성주 성산동유적) 성주 성산동고분에서 출토된 토끼 뚜껑의 복원 2014. 1. 29.